
[세계타임즈=진정화 기자] 2025년 대한민국에서, 그것도 현대자동차 같은 글로벌 대기업이 구사대를 동원했다면 믿을 수 있겠습니까? 하지만 그 믿기 힘든 일이 실제로 벌어졌습니다.
올해 3월과 4월, 울산 현대차 공장 앞에서는 하청업체 이수기업 해고 노동자들과 연대 시민들이 고용 승계를 요구하며 집회를 벌이던 중, 정체 불명의 구사대가 나타났습니다. 그들은 폭력을 행사했고, 노동자들은 피를 흘렸습니다. 이 장면이 2025년 대한민국에서 벌어졌습니다.
현대차는 이 사건을 ‘일부 마찰’이라 주장했지만, 인권단체와 법률단체들이 모여 꾸린 ‘이수기업 구사대 폭력 진상조사단’의 결론은 명확했습니다. 이건 우발적인 폭력이 아니라, 20년 넘게 이어진 불법 파견 구조를 감추기 위한 조직적인 폭력이었다는 겁니다. 실제로 대법원은 지난해, 이수기업이 담당한 공정이 불법 파견이었다고 판결했습니다. 즉, 현대차가 그 노동자들을 직접 고용했어야 한다는 뜻이죠. 그런데 현대차는 어떻게 했을까요? 공정을 없애고 회사를 폐업시켰습니다. 그리고 노동자들을 한꺼번에 잘라냈습니다.
정의선 회장이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되자 현대차는 “교섭에 성실히 임하겠다”며 증인 출석을 피했습니다. 하지만 지난 10월 24일 첫 교섭 자리에서, 회사는 “해고자가 교섭위원 자격이 없다”며 협상 자체를 거부했습니다. 스스로 약속해놓고, 스스로 뒤집은 겁니다. 노조는 “교섭위원을 누가 정할지는 노조가 결정할 일”이라며 “현대차의 태도는 명백한 부당노동행위”라고 반발했습니다. 결국 현대차의 약속은 국회를 기만하고 국민을 속이기 위한 ‘시간 끌기용 쇼’였다는 비판이 이어졌습니다.
직접 피해자인 안미숙 조합원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20년 넘게 현대차에서 일했습니다. 불법 파견 판결이 나자 돌아온 건 정규직 전환이 아니라 집단 해고였습니다. 그리고 구사대의 폭력이었습니다.”
그녀는 “현대차가 국회와 국민을 속였다”며 “이수기업 해고자 전원 고용 승계가 이뤄질 때까지 싸우겠다”고 밝혔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용호 의원은 “현대차는 국회를 농락하고 있다”며 즉각적인 교섭 복귀를 요구했습니다. 진보당 윤종호 의원 역시 “현대차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업답게 법과 사회적 책임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인권운동가 명숙 씨는 “현대차가 헌법과 국제노동기구(ILO) 협약을 동시에 위반하고 있다”며 “세계 어디서 이런 기업이 용납되겠느냐”고 비판했습니다.
진상조사단과 금속노조, 시민단체들은 현대차에 요구하고 있습니다. 불법 파견 시정, 해고자 전원 복직, 구사대 폭력 공식 사과, 그리고 성실한 교섭 참여. 현대차는 여전히 침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침묵은 오래가지 않을 겁니다. 국민은 이미 보고 있습니다 — 현대차가 어떤 방식으로 노동자를 대하는지.
“미래 모빌리티를 외치는 기업이, 과거식 폭력으로 노동자를 막았다.
이게 진짜 ‘대한민국 대표기업’의 얼굴입니까?”
[저작권자ⓒ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